2025년 최저임금 시급과 월급, 기준 중위소득 알아보기

2025년이 시작되면서 대한민국 최저임금이 처음으로 1만 원을 넘게 되었죠. 많은 근로자들이 이 소식을 반기지만, 경제적 부담을 느끼는 고용주들도 적지 않습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년 최저임금 시급, 월급, 기준 중위소득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.


2025년 최저임금 관련 홍보 이미지
출처: 고용노동부


2025년 최저임금, 어떻게 인상되었나?

2025년 최저시급은 전년도에 비해 1.7% 상승하여 10,030원이 되었습니다. 2024년 시급이 9,860원이었던 것에 비해 170원 인상되었죠! 이러한 인상은 근로자의 생활안정과 경제적 자립을 도모하려는 의도에서 시행되었습니다.

  • 2024년 시급: 9,860원
  • 2025년 시급: 10,030원
  • 인상폭: 170원

비정규직, 청소년, 외국인 근로자 등 모든 근로자에게 동일하게 적용됩니다.


최저임금 월급으로 환산하면 얼마일까?

최저임금은 시급으로 설정되지만, 월급을 계산할 때는 주휴수당이 포함되어 계산됩니다. 주휴수당을 포함한 209시간 기준으로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2024년 월급: 2,060,740원
  • 2025년 월급: 2,096,270원
  • 인상폭: 35,530원

최저임금 일급 및 연봉 계산

2025년 최저임금을 기준으로 일급과 연봉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일급: 10,030원 × 8시간 = 80,240원
  • 월급: 10,030원 × 209시간 = 2,096,270원
  • 연봉(세전): 2,096,270원 × 12개월 = 25,155,240원

주휴수당 포함된 시급은?

주휴수당은 주 40시간을 근무했을 때 추가로 받을 수 있는 급여입니다. 이를 포함하면 실질 시급은 약간 더 높아지죠.

  • 주휴수당 포함 시급: 약 12,036원


세금 공제 후 실수령액은?

2025년 월급에서 국민연금, 건강보험, 고용보험, 소득세 등의 공제를 반영하면 실수령액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.

  • 국민연금: 약 94,332원
  • 건강보험: 약 74,310원
  • 고용보험: 약 18,867원
  •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: 약 20,000원

이를 모두 공제한 후의 실수령액은 약 1,888,761원 정도입니다.


물가 상승률과 실질 소득

2025년 최저임금이 1만 원을 넘었다는 점은 상징적이지만, 물가 상승률(약 2.3%)을 고려하면 실질 소득 증대 효과는 제한적입니다. 물가 상승으로 인해 구매력은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실질적인 소득 증대 체감이 적을 수도 있습니다.


2025년 기준 중위소득과 기초생활보장제도

기준 중위소득은 가구의 소득 수준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사용되며,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6,097,773원으로 설정되었습니다. 이는 전년도에 비해 6.42% 상승한 금액입니다.

  • 생계급여: 기준 중위소득의 32% 이하
  • 의료급여: 기준 중위소득의 40% 이하
  • 주거급여: 기준 중위소득의 48% 이하
  • 교육급여: 기준 중위소득의 50% 이하
**도움되는 글 보기**


결론

2025년 최저임금 인상은 근로자들에게는 긍정적인 변화일 수 있지만,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, 현실적인 대처 방안을 고민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.

다음 이전